Title Silicothermic process에 의한 MC-, LC-, 및 LCLP-FeMn 합금철 제조 기술
No. 1 date 2019.04.08 Hit 13454
근래 순도가 높은 저탄소 또는 극저탄소 FeMn 합금철의 수요는 증가하고 고품위 망간광석의 수급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종래의 규소 열환원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청되고 있습니다. 이에 SAC는 중탄소 및 저탄소 FeMn 합금철 용탕 제조를 위한 정련 공정에서의 물질수지(Material balance)를 검토하였으며 제조 하고자 하는 FeMn 합금철 용탕의 종류와 합금철 용탕의 산화제로 사용하는 망간광석의 종류 및 예비처리 상태에 따른 조업조건을 도출하였습니다. 그리고 탄소([C])와 인([P]) 농도가 각각 0.1wt.%와 0.05wt.% 이하로 매우 낮고, 망간([Mn]) 농도가 90wt.% 이상으로 높은 LCLP-FeMn 합금철(Low carbon & low phosphorus FeMn alloy) 용탕을 제조하는 방안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Ladle furnace 2기의 Shaking ladle 및 슬래그 Holding furnace로 구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탈린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LCLP-FeMn 합금철 용탕의 제조공정을 제안한 책을 다음과 같이 발간하였습니다.



목 차
 

1Pertama 공장의 정련공정 

1

1.1 설비의 구성 (Click)

1

1.2 조업 방법의 개요

2

1.2.1 SiMn 합금철 용탕의 제조

2

1.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4

1.2.3 정련로(Refining furnace) 공정에서의 조업

4

 

 

 

2일정량의 FeMn 합금철 용탕을 제조하는 방법

6

2.1 물질수지식의 유도

6

2.1.1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6

2.1.1.1 정련로 공정에서의 반응

6

2.1.1.2 Intermediate 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11

2.1.1.3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14

2.1.1.3.1 망간광석 소요량

14

2.1.1.3.2 생석회 소요량

15

2.1.1.3.3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슬래그의 양과 조성

15

2.1.2 Rotary kiln 조업

16

2.1.2.1 망간광석 소요량과 휘발성 물질의 발생량

16

2.1.2.2 석회석 소요량과 {CO2} 발생량

17

2.1.2.3 코크스 소요량과 {CO} 발생량

18

2.1.3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20

2.1.3.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반응

20

2.1.3.2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24

2.1.3.3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제 소요량과 슬래그 발생량

29

2.1.3.4 SiMn 합금철 용탕과 FeSi 합금철의 소요량

30

2.1.3.5 SiMn 합금철 용탕의 화학성분

34

2.1.4 [%Si]Int의 목표치 설정

35

2.2 물질수지 계산 결과

39

2.2.1 망간광석의 화학성분

39

2.2.1.1 천연광석의 화학성분

39

2.2.1.2 배소한 Vale 광석의 화학성분

41

2.2.1.3 예비환원한 Vale 광석의 화학성분

42


2.2.2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44

2.2.2.1 정련로 공정에서의 반응

44

2.2.2.2 Intermediate 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5

2.2.2.3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47

2.2.2.3.1 정련로 공정에서의 산화제와 조재제 소요량

47

2.2.2.3.2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슬래그의 양과 조성

49

2.2.3 Rotary kiln 조업

51

2.2.4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53

2.2.4.1 Shaking ladle 공정에서 생성되는 슬래그의 양과 조성

53

2.2.4.2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54

2.2.4.3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제 소요량과 슬래그 발생량

56

2.2.4.4 SiMn 합금철 용탕과 FeSi 합금철의 소요량

57

2.2.4.5 SiMn 합금철 용탕의 화학성분

59

2.2.5 물질수지 계산결과의 요약 (Click) 

60

 

 

3일정량의 SiMn 합금철 용탕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방법

67

3.1 물질수지식의 도출

68

3.1.1 SiMn 합금철 용탕의 탄소 농도([%C]LC-SiMn) 제어

68

3.1.1.1 LC-SiMn 합금철 용탕의 [Si] 농도

68

3.1.1.2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FeSi 합금철 소요량

73

3.1.2 Shaking ladle 공정에서 합금철 용탕의 [Si] 농도 조정

76

3.1.2.1 Intermediate 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76

3.1.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제 소요량과 슬래그 잔류량

77

3.1.3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78

3.1.3.1 Fe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78

3.1.3.2 정련로 공정에서 합금철 용탕의 산화제와 조재제 소요량

79

3.1.3.3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슬래그의 양과 조성

81

3.1.4 Rotary kiln 조업

82

3.1.4.1 망간광석 소요량과 휘발성 물질의 발생량

82

3.1.4.2 석회석 소요량과 {CO2} 발생량

83

3.1.4.3 코크스 소요량{CO} 발생량

83

3.1.5 정련조업 방법의 최적화

84

3.1.5.1 슬래그의 수급량 조정을 위한 [%Si]Int의 적정화

84 


3.1.5.2 FeMn 합금철 용탕의 성분조정

86

3.1.5.3 정련설비의 활용율 검토

93

3.1.5.3.1 정련조업 단계별 반응 용기 내용물의 부피 변화

93

3.1.5.3.2 정련조업 단계별로 수용 가능한 내용물의 양

96

3.1.5.3.3 생산성 향상 방안

99

3.2 물질수지 계산 결과

101

3,2,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105

3.2.1.1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목표 조성

105

3.2.1.2 Intermediate 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110

3.2.1.3 합금철 용탕의 산화제 소요량과 슬래그 잔류량

111

3.2.2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113

3.2.2.1 Fe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113

3.2.2.2 망간광석과 생석회 소요량

115

3.2.2.3 슬래그 발생량과 조성

116

3.2.2.4 Shaking ladle 공정에서 생성되는 슬래그의 조성

119

3.2.3 Rotary kiln 조업

121

3.2.3.1 망간광석과 석회석 소요량

121

3.2.3.2 코크스 소요량과 {CO} 발생량

123

3.2.4 조업 조건에 따른 물질수지의 요약

124

3.2.4.1 1 tonSiMn 합금철 용탕을 사용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124

3.2.4.2 조업 단계에 따른 물질수지

130

3.2.4.2.1 조업에서 소요되는 첨가제와 반응 생성물의 양적 변화

130

3.2.4.2.2 정련조업의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131

3.2.4.2.3 정련조업의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량과 [Si] 산화량

133

2.3.4.3 Sing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134

 

 

4장 다단계 조업 (Multiple stage process)

140

4.1 물질수지식의 도출

141

4.1.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141

4.1.1.1 SiMn 합금철 용탕의 탄소농도([%C]LC-SiMn) 제어

141

4.1.1.1.1 LC-SiMn 합금철 용탕의 [Si] 농도

141

4.1.1.1.2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및 FeSi 합금철 소요량

152


4.1.1.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154

4.1.1.2.1 Shaking ladle 공정에서 생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154

4.1.1.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제 소요량

155

4.1.2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156

4.1.2.1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156

4.1.2.2 정련로 공정에서의 산화제와 조재제 소요량 및 슬래그 생성량

157

4.1.3 Rotary kiln 조업

160

4.1.3.1 천연상태의 망간광석 소요량

160

4.1.3.2 석회석 소요량과 {CO2} 발생량

162

4.1.3.3 코크스 소요량과 {CO} 발생량

163

4.2 다단계 조업에서의 물질수지 계산 결과

164

4.2.1 Doub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

164

4.2.1.1 조업 조건의 적정화

165

4.2.1.2 Double stage process에서의 물질수지 계산결과

167

4.2.1.2.1 망간광석의 조성

167

4.2.1.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169

4.2.1.2.2.1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FeSi 합금철 소요량

169

4.2.1.2.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177

4.2.1.2.2.2.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177

4.2.1.2.2.2.2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 슬래그의 양

181

4.2.1.3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184

4.2.1.3.1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Click)

184

4.2.1.3.2 산화제와 조재제 소요량, 및 슬래그 생성량

188

4.2.1.3.2.1 정련로 공정에서 소요되는 산화제와 조재제의 양

188

4.2.1.3.2.2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슬래그의 양과 조성

190

4.2.1.4 Rotary kiln 조업

193

4.2.1.4.1 망간광석 소요량과 휘발성 물질의 발생량

193

4.2.1.4.2 석회석 소요량과 {CO2} 발생량

196

4.2.1.4.3 코크스 소요량과 {CO} 발생량

197

4.2.1.5 Doub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199

4.2.1.6 조업 진행과정에서의 물질수지

205

4.2.1.6.1 조업 진행과정에서의 첨가제 소요량과 반응 생성물의 양

205

4.2.1.6.2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207


4.2.1.6.3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량과 [Si] 산화량 변화

208

4.2.1.6.4 Doub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210

4.2.2 Tri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

216

4.2.2.1 정련공정의 조업 단계별 [Si] 농도와 Rmix의 적정화

218

4.2.2.2 Triple stage process에서의 물질수지 계산 결과

221

4.2.2.2.1 망간광석의 조성

221

4.2.2.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223

4.2.2.2.2.1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FeSi 합금철 소요량

223

4.2.2.2.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234

4.2.2.2.2.2.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234

4.2.2.2.2.2.2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 슬래그의 양

238

4.2.2.2.3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243

4.2.2.2.3.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243

4.2.2.2.3.2 산화제와 조재제의 소요량, 및 슬래그 생성량

248

4.2.2.2.3.2.1 산화제와 조재제의 소요량

248

4.2.2.2.3.2.2 슬래그와 구성성분들의 양

252

4.2.2.2.4 Rotary kiln 조업

256

4.2.2.2.4.1 망간광석 소요량과 휘발성 물질의 발생량

256

4.2.2.2.4.2 석회석 소요량과 {CO2} 발생량

260

4.2.2.2.4.3 코크스 소요량과 {CO} 발생량

262

4.2.2.2.5 Triple stage process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264

4.2.2.2.6 조업 진행과정에서의 물질수지

275

4.2.2.2.6.1 조업과정에서의 첨가제 소요량과 반응 생성물의 양

275

4.2.2.2.6.2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276

4.2.2.2.6.3 합금철 용탕량과 [Si] 산화량의 변화

277

4.2.2.2.6.4 Tri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279

4.2.3 Quadru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

287

4.2.3.1 정련조업 단계별 [Si] 농도와 Rmix의 적정화

288

4.2.3.2 Quadruple stage process에서의 물질수지 계산결과

291

4.2.3.2.1 망간광석의 조성

291


4.2.3.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293

4.2.3.2.2.1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293

4.2.3.2.2.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305

4.2.3.2.2.2.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305

4.2.3.2.2.2.2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 슬래그의 양

310

4.2.3.2.3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315

4.2.3.2.3.1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315

4.2.3.2.3.2 산화제와 조재제의 소요량, 및 슬래그 생성량

321

4.2.3.2.3.2.1 정련로 공정에서 소요되는 산화제와 조재제의 양

321

4.2.3.2.3.2.2 슬래그와 구성성분들의 양

324

4.2.3.2.4 Rotary kiln 조업

330

4.2.3.2.4.1 망간광석 소요량과 휘발성 물질의 발생량

330

4.2.3.2.4.2 석회석 소요량과 {CO2} 발생량

334

4.2.3.2.4.3 코크스 소요량과 {CO} 발생량

336

4.2.3.2.5 Quadruple stage process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339

4.2.3.2.6 조업 진행과정에서의 물질수지 변화

350

4.2.3.2.6.1 첨가제 소요량과 반응 생성물의 양

350

4.2.3.2.6.2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351

4.2.3.2.6.3 합금철 용탕의 양과 [Si] 산화량의 변화

353

4.2.3.2.6.4 Quadru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354

4.2.4 다단계 조업의 효과

362

4.2.4.1 다단계 조업의 정의

362

4.2.4.2 생산성 향상 효과

363

4.2.4.2.1 SiMn 합금철 용탕의 수용능력 향상 효과

363

4.2.4.2.2 FeMn 합금철 용탕의 생산능력 향상 효과

365

4.2.4.3 , 부원료의 원단위 변화

366

4.2.4.3.1 SiMn 합금철 용탕의 원단위 변화

366

4.2.4.3.2 FeSi 합금철의 원단위 변화

368

4.2.4.3.3 망간광석의 원단위 변화

370

4.2.4.3.4 조재제(석회석 또는 생석회)의 원단위 변화

373

4.2.4.4 망간의 실수율 향상 효과

375


5LCLP-FeMn 합금철의 제조기술

379

5.1 LCLP-FeMn 합금철의 제조 방안 검토

380

5.1.1 물질수지식에 대한 고찰

381

5.1.1.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조업

381

5.1.1.1.1 LC-SiMn 합금철 용탕의 [Si] 농도 목표치

381

5.1.1.1.2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FeSi 합금철 소요량

384

5.1.1.1.3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조업

384

5.1.1.2 정련로 공정에서의 조업

387

5.1.1.2.1 정련로 공정에서 생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387

5.1.1.2.2 산화제와 조재제의 소요량 및 슬래그 발생량

387

5.1.2. LCLP-FeMn 합금철 용탕의 화학성분 제어

388

5.1.2.1 정련조업 단계별 [Si] 농도 목표치 설정

388

5.1.2.2 합금철 용탕의 주요 성분([%Mn] & [%P]) 조정

392

5.1.2.2.1 [Si] 공급원으로서의 Metallic Si 사용 효과

393

5.1.2.2.2 정련로 공정에서 망간 함량이 높은 Vale 광석 사용 효과

395

5.1.2.2.3 정련로 공정에서 “MnO-rich slag” 사용 효과

397

5.1.2.2.4 HC-FeMn slagMetallic Si의 조합

405

5.1.2.2.5 HC-FeMn slag에 함유된 (Mn) 산화도의 영향

407

5.2 LCLP-FeMn 합금철 용탕의 제조 방안 (Click)

411

5.2.1 설비의 구성 및 조업방법

411

5.2.2 물질수지식의 도출

414

5.2.2.1 Ladle furnace 공정에서의 물질수지

414

5.2.2.1.1 LC-SiMn 합금철 용탕의 [C][Si] 농도

414

5.2.2.1.2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Si] 공급원의 양

420

5.2.2.2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422

5.2.2.2.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22

5.2.2.2.2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 슬래그의 양

424

5.2.2.3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425

5.2.2.3.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25

5.2.2.3.2 산화제(HM-slag) 소요량과 슬래그 잔류량

426

5.2.2.4 Slag holding furnace 공정에서의 조업

432

5.2.3. 물질수지 계산 결과

433

5.2.3.1 Single stage process에 의한 LCLP-FeMn 합금철 제조

433

5.2.3.1.1 HM-slag의 조성

433


5.2.3.1.2 Ladle furnace 공정에서 생성되는 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34

5.2.3.1.3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438

5.2.3.1.3.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38

5.2.3.1.3.2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제 소요량

440

5.2.3.1.4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442

5.2.3.1.4.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42

5.2.3.1.4.2 산화제와 조재제 소요량, 및 슬래그 발생량

443

5.2.3.1.5 Single stage process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447

5.2.3.1.5.1 1 tonSiMn 합금철 용탕을 사용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447

5.2.3.1.5.2 첨가제의 소요량과 반응 생성물의 양

449

5.2.3.1.5.3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450

5.2.3.1.5.4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량과 [Si] 산화량 변화

451

5.2.3.1.6. Single stage proce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452

5.2.3.2 Double stage process에 의한 LCLP-FeMn 합금철 제조

456

5.2.3.2.1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457

5.2.3.2.1.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57

5.2.3.2.1.2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제 소요량

460

5.2.3.2.2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462

5.2.3.2.2.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62

5.2.3.2.2.2 산화제와 조재제의 소요량 및 슬래그 발생량

465

5.2.3.2.3 Doub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470

5.2.3.2.3.1 1 tonSiMn 합금철 용탕을 사용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470

5.2.3.2.3.2 조업과정에서 소요되는 첨가제와 반응 생성물의 양

472

5.2.3.2.3.3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473

5.2.3.2.3.4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양과 [Si] 산화량

474

5.2.3.2.4 Doub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475

5.2.3.3 Triple stage process에 의한 LCLP-FeMn 합금철 제조

479

5.2.3.3.1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 합금철 용탕의 산화정련

480

5.2.3.3.1.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80

5.2.3.3.1.2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 슬래그의 양

483

5.2.3.3.2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487

5.2.3.3.2.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487


5.2.3.3.2.2 산화제와 조재제의 소요량, 및 슬래그 발생량

490

5.2.3.3.3 Tri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497

5.2.3.3.3.1 1 tonSiMn 합금철 용탕을 사용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497

5.2.3.3.3.2 조업과정에서 첨가제 소요량과 반응 생성물의 양

499

5.2.3.3.3.3 정련조업의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500

5.2.3.3.3.4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양과 [Si] 산화량

502

5.2.3.3.4 Tri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503

5.2.3.4 Quadruple stage process 의한 LCLP-FeMn 합금철 제조

507

5.2.3.4.1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508

5.2.3.4.1.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508

5.2.3.4.1.2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 슬래그의 양

512

5.2.3.4.2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산화정련

516

5.2.3.4.2.1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516

5.2.3.4.2.2 산화제와 조재제 소요량 및 슬래그 발생량

521

5.2.3.4.3 Quadru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528

5.2.3.4.3.1 1 tonSiMn 합금철 용탕을 사용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528

5.2.3.4.3.2 첨가제 소요량과 반응 생성물의 양

532

5.2.3.4.3.3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성분 변화 (Click)

533

5.2.3.4.3.4 조업 진행에 따른 합금철 용탕의 양과 [Si] 산화량

534

5.2.3.4.4 Quadru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535

5.2.4 다단계 조업의 효과

540

5.2.4.1 생산성 향상 효과

540

5.2.4.2 , 부원료의 원단위 절감 효과

541

5.2.4.3 망간의 실수율 향상 효과

544

5.2.5 HM-slag(MnO) 함량에 대한 고찰

545

5.2.5.1 HM-slag(MnO) 농도에 따른 생산성과 망간 실수율 변화

546

5.2.5.2 (MnO) 슬래그 제조 방법

558

5.2.5.2.1 슬래그의 염기도와 망간광석의 환원반응

558

5.2.5.2.2 슬래그의 용융 특성

560

5.2.5.2.3 조재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조업

560

5.2.5.2.4 (MnO) 조업과 폐기 슬래그 조업

562

5.2.5.2.5 전기로 조업에서의 평형관계

562

5.2.5.2.6 실제 조업에서 생성되는 슬래그

564


6SiMn 합금철 용탕의 탈린처리에 의한

LCLP-FeMn 합금철 제조

567

6.1 SiMn 합금철 용탕의 탈린(De-P) 처리

567

6.2 Ladle furnace 공정에서의 물질수지

568

6.2.1 LCP-SiMn 합금철 용탕의 [C], [Si], [P] 농도 계산 (Click)

568

6.2.2 LCP-SiMnLC-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Si] 공급원의 소요량

575

6.3 No.1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물질수지 계산 결과

586

6.3.1 Single stage process에 의한 LCLP-FeMn 합금철 제조

587

6.3.1.1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물질수지

588

6.3.1.1.1 Intermediate Si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588

6.3.1.1.2 합금철 용탕의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 슬래그의 양

590

6.3.1.2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물질수지

592

6.3.1.2.1 LCLP-FeMn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592

6.3.1.2.2 첨가제 소요량과 슬래그 및 구성성분들의 양

593

6.3.1.3 Sing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595

6.3.1.4 Sing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596

6.3.2 다단계 조업에 의한 LCLP-FeMn 합금철 제조

598

6.3.2.1 No.1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물질수지

601

6.3.2.1.1 단계별 조업에서 생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601

6.3.2.1.2 합금철 용탕의 산화제 소요량과 잔류하는 슬래그의 양

604

6.3.2.2 No.2 Shaking ladle 공정에서의 물질수지

606

6.3.2.2.1 조업 단계별로 생성되는 합금철 용탕의 양과 조성

606

6.3.2.2.2 합금철 용탕의 산화제와 조재제 소요량

608

6.3.2.3 단계별 조업에서 생성되는 슬래그와 구성성분들의 양

610

6.3.2.4 Quadruple stage process 채택하는 경우의 물질수지 요약

610

6.3.2.5 Quadruple stage process를 채택하는 경우의 생산성

614


 

 

자세한 내용 및 문의사항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list
Prev 카자흐스탄 연산12만톤 합금철 프로젝트 개요
Next 카자흐스탄 연산12만톤 합금철 프로젝트 개요
family site
SAC HOLDINGS SAC TNS SAC METAL SAC SUZHOU SAC TEc SAC dream & hofe